Dysphoric Landscape
There is soft yet rough texture
that i can find between my nose
& my mouth
It’s like a trace of an old signature
that i try to erase from the past that knows
& the texture is like the land of drouth
Prickly touch reminds me of my first kiss,
evokes in me longing and disgust
With a face like this i receive hiss
Self-consciousness must’ve been collecting dust
When my beard starts to blossom,
i know i’ve been barely home
They grow tall like field of reeds
i have no clue what my soul needs
In the familiar unpleasant landscape
i feel unfamiliar
All the different shapes
that i can take, doesn’t make me a liar.
20.04.24
Crossroad
As we move through life
we face things that can be said & things that cannot be said
Yet we try hard to say those things
which are in the realm of the shadow
Underneath the treacherous meadow
Insidious happenstances lurking and awaiting
Traversing while singing desperate verses with no aid
Dragging this cumbersome Leib
Every one’s on their own
We may stare deep inside each other’s I ~ Z s
despite the 아이我异aïs that one cannot own
Counting adding summing up ABGILQT +++
Curbing not to disturb, carefully locating the kerbs
They am not so Pro-noun, but more of a fan of proverbs
Not because of their morality but because of their poetry
Just like 金鍔ぎKintsugi, old rules shatter with the pottery
Not searching for the perfect reflection of my self in your I
I’d rather not say “it”
3 different scenarios when we meet at the crossroad
: 1. pass by 2. drive same way 3. hit
“Hey Toad, hey Toad,
두껍아 두껍아
Take my old house and give me a new home
헌 집 줄게 새 집 다오”
Goes the lyrics of a Korean folk song
it’s the way道 engrained in your polysomes, how awesome
I’d rather walk away than fight you going gung-
ho 工合
03.03.24
짜릿자리
한밤 중에 일어나면 어둠 속에 사다리를 내려간다.
한발 한발은 뛰어듬과 잡음 사이의 균형을 살핀다.
변소로 가는 길은 알 수 없이 오금이 저린다.
다리 사이에 태초부터 자리한 양각 음각 구멍들은,
몸둥아리의 안과 밖이 사실은 하나라는 상기인 동시에
내 안과 밖을 가로지르는 나선을 찢어버리는 대각선이다.
양각 구멍은 노폐물들을 Iguazú 폭포같이 흘려보낸다.
그 광경은 내 눈에 닿지 않지만 상상 속에서 그것은 노란색이다.
변기 뚜껑을 닫으면 그것은 소용돌이 안의 구멍 저편으로 사라져 버린다.
몸을 일으키자 여전히 잠의 세계에 풀어져있는 나의 오감이 실처럼 감긴다.
희미한 오감이 눈앞의 거울을 맡는다.
거울 안에는 만번도 넘게 본 지겨운 광경이 서있다: 코, 귀, 입, 감쳐진 혀,
그리고 두 구멍
그러나 만번을 마주해도 눈이 결코 볼 수 없는 것이 있다,
그것은 중간에 있는 두 구멍의 뒤에 서있다.
갈라진 틈으로 보이는 둔감한 광채의 구멍을 아무리 뚜렷이 노려봐도
눈빛은 결코 그 구멍을 통과할 수 없다. 구멍은 눈빛이 빠져 나온 곳이기 때문이다.
눈 중앙의 구멍 뒤에 서있는 자가 누구인지 난 영영 알 수 없을 것이다.
아, 구조에 대한 생각은 마치 속도를 머금은 듯한 심혈관에 경감감처럼 번쩍인다.
유치한 설렘처럼
너에 대해 내가 알지 못 하는 것들은 내 안에서 구멍을 튼다.
그러나, 너는 결코 볼 수 없는 너의 눈구멍 뒤에 서있는 누군가를, 나는 내 구멍을 통해 훔쳐본다.
시시한 짝 놀음은 역겹다고 말하지만, 너의 구멍 뒤에 서있는 알 수 없는 자를 훔쳐보는 일은 짜릿하다.
너도 나는 결코 볼 수 없는 내 눈구멍 뒤의 누군가를 훔쳐보리라
11.02.24
SnoW
When snow falls and strips the world bare
I get close to the NO between the river and the mountain.
In the ruthless cold, I grab the fractal’s hair.
The field accumulates the NO thing ness like a fountain.
No is not the same as less.
Neither it is the opposite of Yes.
The cold enwraps the land in lifelessness
& “lifelessness is not the death” says the witness.
Concealed under the blindness, mysteries bloom.
The heat declares defeat and the molecular oscillations wane.
Under the blanket of No, there is overlapping whispers’ loom.
naughty now 不(no) know 能(noh) neugierig in lane.
The nuisance of the noises is swallowed by the hexagonal flakes.
Before they melt into the muddy grey, they first dissolve the fakes.
The excess of flexure gets down to a straight line.
Not knowing bears more stories than knowing.
Under the white plane, life has cat’s nein
& they say the snow’s ashes hold more life than the roaring spring.
13.01.24